군 복무 중 암에 걸려 다리를 잃을 뻔한 군인이 3D 프린터 치료기술로 극적으로 재활의 길을 걷게 됐다는 소식 전해드린 적 있는데요.
그런데 치료비 지원을 약속했던 군 당국이 황당한 이유를 들며 말을 바꾸면서 해당 군 가족들이 곤경에 처했습니다.
이병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 8월 방송)
"골육종으로 다리를 잃을뻔했던 청년이 3D 프린터로 만든 뼈를 이식하고 다시 걸을 수 있게됐습니다."
획기적인 치료법 덕분에 수술을 받고 언론에 소개까지 됐던 박 모 씨.
당시 군인이었던 박 씨에 대해 군은 치료비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그런데, 수술 두 달 뒤 국군의무사령부의 말이 바뀝니다.
해당 병원에서 홍보비를 받았을테니 1천2백만 원이 넘는 치료비의 절반 정도는 지원할 수 없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국군의무사령부 관계자
- "암센터의 신의료기술을 도입했다고 홍보가 들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우리 의무사령부 심의에서는…."
군의 황당한 주장에 홍보비를 받은 게 없다고 항의하자, 이번엔 보험적용이 안되는 신기술이라 지원이 어렵다고 발뺌합니다.
▶ 인터뷰 : 이순용 / 수술 병사 보호자
- "이 방법이 아니면 23살짜리 발목을 잘라야 하는 상황인데, 이걸 가지고 신기술 도입이고 아니고, 또 누가 득을 보고 이걸 따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군 당국의 말만 믿고 다른 지원은 마다했던 박 씨 가족.
군 당국의 무책임한 태도에 애꿎은 박 씨 가족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병주입니다.[ freibj@mbn.co.kr ]
영상취재 : 김회종 기자
영상편집 : 이인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