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경기도에 소방관 3교대 근무 시대가 열린다. 화재진압 등 공무를 수행하다 다친 소방관에게는 의료비 등을 전액 지원한다.
3일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소방력 강화 방안(일명 소방령 이병곤 플랜)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경기도의 소방력 강화 방안을 작년 12월 서해대교 화재사고 현장에서 끊어진 케이블에 맞아 순직한 평택소방서 고(故) 이병곤 소방관의 이름을 따 ‘소방령 이병곤 플랜’으로 명명됐다.
소방력 강화 방안은 소방 현장인력 100% 3교대 근무 전환, 맞춤형 보육서비스 지원, 부상 소방관 의료비 전액 지원 등을 담고 있다.
우선 경기도는 2020년까지 매년 500여명의 소방관을 충원해 현장근무인력 3교대 근무를 완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3교대 근무비율은 82%로, 일부 소방서는 24시간 근무후 하루를 쉬는 2조 2교대 근무방식으로 운영돼 소방관들의 피로누적이 가중되고 있다. 매년 500여명의 소방관이 충원되면 2020년 경기도 소방인력은 7338명에서 9534명으로 늘어난다.
특수방화복과 안전장갑 등 개인안전장비도 충분히 지급하고, 노후율 ‘0%’를 유지하기로 했다. 사비로 개인장비를 구입하는 일이 없도록 2018년까지 149억 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근무환경도 대폭 개선된다. 3교대 근무체제에 맞춰 각 소방서에 24시간 보육이 가능한 어린이집을 지정·운영한다. 당장 내년에 39개 어린이집을 지정할 방침이다. 보육교사 인건비와 운영에 필요한 추가 경비 5억 8000만 원은 도비로 전액 지원한다. 여성소방공무원 전용 휴게실(30개소), 방화복 전용세탁기(34개서), 구급대원 MRI 검진비,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심리 치유비도 지원한다.
특히 근무중 부상을 당한 소방관에 대해서는 무한책임을 지기로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등 대형병원과 연계해 소방관 전담 의료진을 확보하고, 의료비 전액을 지원한다. 지금까지는 공무를 수행하다 입은 부상자에게 통증주사치료, 보조기구 사용, 상급 병실료 등은 지원되지 않았다.
이와함께 경기도는 △노후소방차·구조장비 노후율 ‘0%’ △지진·붕괴·폭발 등 특수재난 대비 태세 강화 △낡은 소방서·119안전센터 이전 또는 신설을 약속했다.
남 지사는 “지진·화재·테러 등 각종 재난의 위험성이 늘고 있지만 정작 재난 현장의 주역인 소방관의 안전·처우는 부족한 면이 있다”면서 “영웅을 영웅답게 대우하는 것이 최상의 소방력을 갖추
경기도는 소방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9월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5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달에는 도 전체 소방관을 대상으로 2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소방관에게 듣다’란 토론회를 개최해 일선 소방관들의 의견을 대폭 수용했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