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전인 2012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이 양산·울산 단층(이하 양산단층)대가 활단층이라는 지질조사 결과를 내놨지만, 정부가 이를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을 계기로 양산단층이 활단층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면서, 국내 활성단층 지도 제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 2009년 국민안전처(당시 소방방재청)로부터 3년 과제로 20억원을 지원받아 양산단층을 중심으로 ‘활성단층 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R&D(연구개발)에 들어갔다. 활성단층이란 지각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지진이 일어났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곳을 말한다.
연구결과 1980년대 초반 한반도에도 활성단층대가 존재하는데 그 단층대가 양산과 울산 2곳이라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번에 양산단층대는 경주∼양산∼부산에 이르는 170km의 단층으로,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해 있는 고리·월성 지역과도 가깝다.
당시 연구책임자였던 최성자 지질연 박사는 “양산단층과 울산단층 지진계에 측정된 관측자료를 분석해 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측정값을 선으로 연결해 활성단층 지도를 제작했다”며 “지질조사 결과 활성단층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공청회를 열었지만, 정부에서 사회적인 파장이 우려된다며 공개를 반대했다”고 말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양산단층에 밀집된 원전 주변 주민들에도 불안감이 가중되고, 환경단체도 원전 가동에 반대할 것”이라며 발표를 하지 않기로 했다.
결국 연구과제가 2012년 종료된 뒤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국내 지진 위험지도 제작은 수포로 돌아갔다.
정부는 1994년에도
당시 국내와 일본 일부 학자들은 원전이 밀집된 고리·월성 일대가 활성단층대로, 앞으로 30년 이내에 한번은 강도 7∼8의 강진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