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19일 발표한 2016년 4월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임금총액 조사 결과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울산시가 가장 임금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월 평균임금이 428만9000원으로 전국 평균인 341만6000원보다 125.5% 높았다. 서울시가 383만3000원으로 2위를 차지했고 충청남도가 352만3000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임금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도(256만4000원), 대구(275만7000원), 부산(296만4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우 평균 임금이 전국평균의 75.1% 수준이었다. 이는 제주도에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숙박·음식점업이 몰려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한 4월 임금 상승률은 충청북도가 5.4%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4.8%), 충남(4.7%)이 뒤를 이었다. 이는 충청북도에 반도체, 화학 등 호황을 누리는 제조업체가 밀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임금 상승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1.4%)과 부산(1.6%)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현재 조선업 등이 밀집해 있는 울산 지역의 기업들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충청북도(185.6시간)와 경상남도(184.4시간)가 가장 길었다. 근로시간이 가장 짧은 지역은 168.0시간을 기록한 서울이었다. 울산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근로시간이 15시간 감소해 근로시간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뉴스국 서정윤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