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 한국인의 비만 진단기준을 현행보다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자 대한비만학회가 그럴만한 충분한 학문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대한비만학회는 현재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BMI) 25로 비만 진단기준을 판단하고 있는데 이를 느슨하게 바꿀 경우 오히려 득보다 사회적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3일 주장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 비만 전문가들은 아시아 인종의 비만 진단기준을 체질량지수 23 이상을 과체중,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했다.
체질량지수 수치가 올라갈수록 비만 진단기준 판정이 완화하게 된다. 미국의 경우 체질량지수 30 이상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체질량지수 25 이상이 기준인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비만 진단기준에 엄격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만 진단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측에서는 기준이 너무 까다로워 비만에 대한 대중들의 공포감을 조장하고, ‘과잉진료’를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근거를 대고 있다.
그러나 비만학회는 비만 진단기준을 바꾸면 ‘득’보다 ‘실’이 많다는 입장이다.
오상우 비만학회 연수이사(동국대일산병원)는 “사망률과 엮어서 비만 진단기준을 다시 책정하자는 주장도 있
학회는 이런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 오는 11월 비만 관련 진료지침 개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비만 진단기준 관련 내용도 포함한다는 게 획회의 입장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