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지하철 1호선을 세종시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대전지하철 1호선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 13.6㎞를 잇는 구간이다. 이 사업이 마무리되면 정부세종청사~KTX 오송역(14㎞) 구간에 대한 연장 사업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게 대전시와 세종시의 복안이다.
대전시와 세종시는 1일 “정부부처의 세종시 이전 완료 등 도시성장에 따라 연접한 대전-세종간 동일한 생활권이 형성되면서 시민들의 이동편리성 증대, 접근성 제고를 위해 대전지하철 1호선 세종시 연장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하철이 계획대로 연장되면, 두 도시는 더욱 통합된 생활권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이날 매일경제신문 주최로 대전 유성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매경 대전CEO포럼’에서 두 도시의 상생발전을 위한 지하철 1호선 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대전지하철이 세종까지 연장되면 인적 교류가 활발해져 대경제권을 형성하는데 촉매제 역할을 하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권선택 대전시장도 “정부세종청사와 정부대전청사간 ‘국가중추행정도시’ 기능이 연계 강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날 매경 대전CEO포럼에서는 장기적으로 두 도시의 행정구역 통합 필요성까지 제기됐다. 강병수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는 두 도시의 상생 발전 방안으로 ‘어메니티(amenity) 확대-메갈로 폴리스(Megalopolis·초거대도시) 구축-행정구역 통합’이란 3단계 단계 방안을 내놨다.
강 교수는 “수도권 인구가 세종으로 오지 않으면 세종시는 주변 도시 인구의 블랙홀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대전시와 세종시가 상생발전하려면 서로 협력해 수도권 인구가 기꺼이 이주하고자 하는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전시는 해마다 세종시로 떠나는 인구가 늘면서 인구 유출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더구나 두 도시는 사회·경제적 생활권이 상당히 겹치면서도 행정구역은 분리돼 있어 효율적인 행정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시 서비스와 공공시설 투자가 중복되고, 비용을 부담하는 측과 혜택을 보는 측이 달라 형평성 문제까지 제기된다.
강 교수는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우선 수도권 주민의 이주를 촉진할 어메니티 강화가 필요하며 나아가 행정구역 통합까지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단기적으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에게 양질의 보육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린 어메니티’를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세종시에 명문대·유명학원가를 유치·조성하고, 고려대·카이스트· 충남대 부속 중·고등학교를 설립하는 등 ‘도시 어메니티’를 강화해야 수도권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이주해 올 것으로 강 교수는 내다봤다.
강 교수는 “이러한 어메니티 보강을 통해 수도권 인구가 유입되면 대전·세종시는 자연스럽게 메갈로폴리스 단계에 접어들게 되고 이에 맞는 새로운 제도가 필요하게 될 것”이라면서 ‘광역대도시청 설립, 광역행정조정위원회 등의 방법도 있지만 대전·세종시를 동일행정구역으로 묶는 통합지방자치단체 출범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도 두 도시 통합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최영종 알파라발코헥스 대표는 “대전·세종시의 상생 모드도 단체장이 바뀌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면서 ”지금부터라도 통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하철 1호선 연장과 관련해 대전시와 세종시는 오는 12월 대전지하철 1호선 세종시 연장 사업추진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사업추진 관련 행정 절차에 착수한다. 이 TF는 타당성 조사를 통해 △지하화△노면(트램
[특별취재팀 = 현문학 본부장(팀장) / 조한필 기자 / 박진주 기자 /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