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번 이대 사태에 대해 "학벌 우월주의"에 따른 것이란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김종민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대생들과 졸업생이 붙여 놓은 반대시위 문구입니다.
이화여대의 역사와 졸업생들의 명예를 강조하는 글들이 눈에 띕니다.
학교의 이번 결정으로 자칫 학교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 인터뷰 : 대학생
- "이 대학에 수준을 맞춰서 들어오면 되는데, 무분별하게 오픈을 하니까…."
이대생들의 이번 반발을 두고 학생들이 학벌 프리미엄을 지키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시각이 제기됩니다.
학생들이 반발하는 밑바탕에는 수능 성적만이 공정성을 담보한다는 일종의 '서열의식'이 작용했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재수생
- "너무 그렇게 반대를 심하게 하는 건, 잘 모르겠어요. 일반인들도 공부를 할 수 있는 취지는 나쁜 건 아니니까."
하지만 이미 학벌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이대생들만 비난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 인터뷰 : 구본창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국장
- "상위권 대학을 나오더라도 취업의 기회가 보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기회에 어떤 모수가 끼어드는 것을 불안해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이대 사태는 우리 사회의 모순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지적입니다.
MBN뉴스 김종민입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기자
영상편집 : 이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