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은 무조건 큰 병원이 좋다?…"질환마다 달라"
![]() |
↑ 응급실/사진=연합뉴스 |
'대형병원 환자 쏠림 현상'으로 응급실 대기시간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심장·뇌·외상 관련 중증질환이 아닌 경우 중소·전문병원에서도 충분히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11일 의료계와 보건복지부 '2015년 응급의료기관 평가'에 따르면 대기시간이 긴 상위 20개 병원의 경우 중증 응급 환자가 수술실 또는 병실로 가지 못하고 오로지 응급실에 대기하는 시간만 평균 14시간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따라서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자를 안전한 지역을 옮긴 후 상태를 살피고, 무조건 환자를 병원에 이송하기보다 응급 환자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만약 응급 환자인 것 같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동시에 119 센터에 연락해 빠르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해야 합니다.
119 센터에 신고할 때는 환자 위치, 주소 및 전화번호, 문제 발생 경위, 환자 상태와 숫자, 위험요소 유무 등 본인이 최대한 파악한 정보를 천천히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철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대형병원은 환자가 더욱 몰리므로 대기시간이 많이 길어질 수 있다"며 "평소 앓고 있던 질환으로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주치의가 환자 상태를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동안 다니던 병원을 우선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한 교수는 환자 증상이 응급인지 아닌지 또는 일반 병원을 찾아도 되는지 아닌지 등을 섣불리 판단할 수 없을 때는 반드시 119의 도움을 받으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심장·뇌·외상환자와 같이 생명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환자는 대형병원에 가야 하지만 다른 질환은 가까운 곳에 있는 중소·전문병원 응급실을 찾아도 무방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한 교수는 "환자 상태에 따라 더욱 빠른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며 "화상이나 수지 봉합이 필요할 때는 전문 응급병원을, 골절이나 찢어진 부위를 꿰매야 할 때는 중소 병원 응급실을 방문해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전문 응급병원은 검사·치료 장비를 충분히 갖추고 있고 치료 경험도 풍부하므로 안심하고 환자를 맡겨도 된다는 게 한 교수의 설명입니다.
한 교수는 "골절의 경우 응급처치 방법이 병원마다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중소 병원 응급실에서 1
그는 "다친 부위를 꿰매는 것도 최소 6시간에서 최대 24시간 이내에 수술하면 되므로 중소 병원에서 기본 처치를 받고 가까운 성형외과에 가서 꿰매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