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도시보다 시골이 더 심해…'건강 불균형 심각'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대도시보다 시골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만도나 질병의 유병률도 시골이 더 높아서 지역 간 건강 불균형이 심각했습니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학술지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린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 수준의 건강 결정요인'(플로리다주립대 이진희)의 분석 결과입니다.
이 보고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10년·대상자 19만6천995명)를 인구 수준에 따른 분석해 비만도, 스트레스 수준, 질병 유병률을 살펴봤습니다.
비만도는 체질량지수(BMI), 스트레스 수준은 1점(거의 느끼지 않음)~4점(매우 많이 느낌)까지의 4점 척도, 유병률은 고혈압, 고지혈증, 심근경색, 협심증, 우울증 등 10개 질환 중 1개 이상을 가진 사람의 비율로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 스트레스 평균점은 도시가 2.86점으로 2.90점인 비도시 지역보다 낮았습니다.
인구 규모별로도 50만명 이상 지역이 2.84점, 30~50만명 2.86점, 10~30만명 2.88점, 10만명 미만 2.97점 등으로 인구수가 적은 지역 주민들이 더 큰 스트레스를 느꼈습니다. 또 수도권(2.84점)보다 비수도권(2.94점)의 스트레스 정도가 더 컸습니다.
스트레스 정도는 도시와 비도시 모두 점점 높아지다가 30대에서 가장 큰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도시 지역의 경우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진 것과 달리 비도시 지역은 낮아지다가 60대 이후에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런 경향은 비만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도시보다 비도시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이, 인구 규모가 작은 지역일수록 오히려 더 뚱뚱한 편이었습니다.
체질량지수의 평균값은 도시가 22.88이었지만 비도시는 이보다 높은 23.08점이었습니다. 인구 50만명 이상 지역은 22.83점으로 가장 낮았고 인구 30~50만명 22.96, 인구 10~30만명 23.01, 인구 10만명 미만 23.03등으로 인구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졌습니다. 다만 수도권(22.96)과 비수도권(22.99)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비만도는 40대 이하에서는 비도시 지역이 도시 지역보다 더 큰 편이었지만 노년층으로 가면서 도시 지역이 비도시보다 더 컸습니다. 즉, 젊은 층은 도시 쪽이, 장·노년층은 비도시 쪽이 비만한 정도가 큰 것입니다.
지역 간 격차는 유병률에서 더 뚜렷해서 도시의 유병률이 0.65로 비도시의 유병률인 0.74과 차이가 컸습니다. 수도권의 유병률이 0.63으로 비수도권의 0.79보다 낮았고, 인구 50만명 이상(0.57), 30~50만명(0.63), 10~30만명(0.67), 10만명 이하(0.88) 등 지역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졌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
여기에는 인구 규모가 작은 지역일수록 유병률이 높은 노인 인구가 더 많은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고서는 "지역 간 인구구성의 차이와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