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결정 논란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중국 반대 눌렀다"
![]() |
↑ 사드 배치 결정 논란/사진=연합뉴스 |
한미 양국이 8일 주한미군에 미국의 고(高)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를 전격 결정한 데 대해 미 언론 등 외신들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중국의 반대를 눌렀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사드 배치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혀온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반발로 동북아 지역의 긴장이 높아지고, 한중 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이번 결정은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한 한국의 공포가 중국의 반대에 대한 우려를 압도한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
AP통신은 이번 결정이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당장 중국 외교부는 이날 한미 양국의 발표 직후 성명을 통해 "강렬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하며, 사드 배치는 "중국을 포함한 이 지역 국가들의 전략적 안전이익과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심각하게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로스앤젤레스(LA) 타임스도 한미 양국의 이 같은 결정은 "중국과의 긴장을 높이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와 관련, 한국 내에서도 반발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국군은 사드가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방어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한국 정치인들은 중국의 강력한 반대를 우려해 사드 배치를 주저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사드 배치로 중국이 미국과 한국을 견제하는 완충지대로서 북한과 더 가까운 관계를 추구할 수 있고, 더불어 중국이 한국에 경제 보복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라는 것입니다.
중국은 한국의 제1 무역 파트너로, 다른 어느 국가보다도 많은 관광객을 한국에 보내고 있다고 NYT는 부연했습니다.
그러나 국제관계학자인 대니얼 핑크스턴은 LA타임스에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관계 악화 우려는 "과장된 것"이라며 "사드 시스템은 인구가 밀집된 한국 도시에 미사일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계됐기 때문에, 이 같은 미사일 공격을 계획하고 있지 않는 한 사드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NYT는 중국의 반대 외에도 한미가 사드 배치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직
앞서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의 주민과 정치인들은 사드 시스템의 레이더에서 나오는 강한 전자 신호가 주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한반도에서 전쟁 발발 시 북한이 쏘는 미사일의 초기 표적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