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인구 1000만’ 시대가 막을 내렸다. 인구 1000만명을 처음 넘어선 1988년 이후 28년 만에 1000만 선이 붕괴됐다.
높은 집값과 전세금 고공행진으로 주거불안이 커지면서 ‘탈서울’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일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전국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인구는 999만5784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인구는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세다. 이 기간에만 10만9422명이 줄었다. 올해 들어서도 1월 3644명, 2월 4276명, 3월 4673명, 4월 6609명, 5월 7195명 등으로 감소 폭이 커지는 추세다.
전국 인구에서 서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5월 19.37%를 기록했다. 인구 4명 중 1명이 서울시민이던 1992년(24.6%)보다 크게 떨어진 수치다. 서울의 인구 비중은 2013년(19.8%) 처음 10%대로 떨어진 이후 2014년 19.7%, 2015년 19.4% 등으로 꾸준한 하락세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서울에서 경기 등지로 전출해 작성한 전입신고서를 살펴보면 전입 사유로 주택문제가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 광역교통망이 발달하면서 집값·전세금이 비싼 서울을 떠나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는 의미다.
앞으로도 서울시의인구 감소는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서울연구원이 진행한 ‘서울시 주택성향의 변화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살펴보면 앞으로의 주거 이동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전체 서울 가구의 49.5%가 의향이 있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특히 도시 인구의 중심축인 20~30대에서 10명 가운데 7명 꼴인 각 71.1%, 72.7%가 서울을 떠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유출된 서울 인구를 흡수한 경기도 인구는 늘어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