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 9.5%까지 치솟아…1월 기준 16년 만에 ‘최고치’ 기록
2016년 1월 청년(15~29세) 실업률이 9.5%, 1월 기준으로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화제다.
3포(연애, 결혼, 출산)와 5포(3포에 내집, 인간관계 추가)를 넘어 꿈, 희망 그리고 모든 삶의 가치를 포기한 청년들을 말하는 ‘N포세대’의 취업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 청년실업률 9.5% |
작년 11월 20만 명대로 떨어졌던 월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12월 49만 5000명 늘며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지만 1월 들어 지난해 연간 수준(33만 7000명)으로 다시 떨어졌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했을 뿐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 주요 고용지표는 일제히 개선세를 보였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은 58.8%로 0.1%포인트 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2%로 0.4%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월별로 따진 실업률은 작년 7월(3.7%) 이후 6개월 만에 최고치이나, 겨울철에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김진명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 1월보다 수출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이 커졌는데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청년(15∼29세) 실업률은 9.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지난해 6월(10.2%)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계절적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매년 1월 수치와 비교해도 2000년 1월 11.0%를 기록한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이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다 보니 구직기간이 길어지면서 실업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청년 취업자 수는 394만 2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만 5000명 늘었다. 고용률은 41.7%로 0.4%포인트 상승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1.6%로 작년 3월 (11.8%)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5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나는 흐름은 계속됐다.
지난달 50대 취업자는 11만 5000명, 60세 이상은 19만 4000명 늘어 청년층 취업자보다 증가
30대 취업자도 1만명 증가하는 등 전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가운데 40대만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4천명 줄었다.
취업준비생은 60만 9000명으로 1년 새 4만 5000명(8.0%) 늘었다.
김진명 과장은 “전반적인 고용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지만 대외 불확실성 증가하고 기저효과가 커진 점이 고용 증가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청년실업률 9.5%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