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우주로의 담대한 도약'…나로호 성공 3주년
↑ 한국형발사체 엔진을 점검하는 국내 개발진 |
100% 국산 로켓 연구 전력…2020년에는 자체 달 탐사선 발사도
2013년 1월30일 오후 4시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외딴 섬에서 번쩍이는 빛과 연기가 쏟아지더니 1시간 뒤 전국이 환호했습니다.
이곳 나로우주센터에서 처음 우리 힘으로 쏘아 올린 위성 로켓 나로호(KSLV-Ⅰ)가 목표 궤도에 제대로 올라간 것입니다.
'우주로의 담대한 도약' '2010년대 최대 과학 성과'란 찬사를 받던 나로호 발사 성공이 올해로 3주년을 맞았습니다.
나로호는 2002년 개발 시작부터 성공까지 11년을 기다려야 했던 쾌거였지만, 우주 강국을 향한 긴 여정에서 보면 '출발 단계'에 불과했습니다.
지상에서 발사체를 밀어올리는 핵심 요소인 1단 로켓을 러시아가 만들고 그 위에 국내 제작한 2단 로켓을 얹은 '절반만 국산'이었기 때문입니다.
나로호는 또 실어 나를 수 있는 화물 무게가 소형 위성 1대 중량인 100㎏에 불과해 상용 위성 로켓으로 쓰기에는 성능이 부족합니다.
자체 발사체로 위성은 물론이고 사람까지 우주에 보냈던 미국·러시아·중국 등 우주 대국들과 비교가 어려운 수준.
심지어 북한은 2012년 12월 자체 제작한 위성 로켓인 은하3호의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이 못한 '국산 로켓 보유국' 타이틀을 따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은 우주 강국의 역량을 키우고자 지금도 '전력질주' 중입니다.
일단 최대 목표는 100% 국산 로켓의 완성입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일정으로 한국형발사체(KSLV-Ⅱ) 개발 사업을 가동해 단일 과학기술 프로젝트로는 최대 예산인 1조9천572억원을 쏟아 붓고 있습니다.
높이 47.2m의 3단 위성 로켓을 온전히 우리 기술로만 설계·조립해 2020년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한국형발사체는 투입 고도가 나로호(300㎞)보다 훨씬 높은 600∼800㎞인데다 운송 화물 중량도 1.5t으로 나로호의 15배에 달합니다. 돈을 받고 외국 위성을 우주로 쏴주는 '상업 발사 시장'의 문을 두드려 볼만한 수준입니다.
개발을 주도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금 나로우주센터에서 로켓의 핵심 부품이 될 75t급 엔진을 반복 시험하며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내년 말께는 이 75t급 엔진의 개발을 완료하고 엔진을 직접 로켓에 탑재해 쏘는 시험 발사를 할 계획입니다.
달 탐사도 우주 개발 '스퍼트'(막판 힘내기)의 하나입니다. 2018년 말까지 외국 발사체에 달 궤도선 1기를 실어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1천978억원을 투입하는 달탐사 1단계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이어 2020년에는 지금 만드는 한국형발사체를 개량한 모델에 무인 탐사선을 실어 달에 보내기로 했습니다. 국산 로켓의 사용 범위를 달로도 넓힌다는 얘기입니다.
부족한 점도 많았지만 나로호는 여전히 한국 우주 개발에 극적 '전환점'입니다.
나로호 제작·설계, 발사대 제
과거 인공위성과 과학탐사 로켓 정도를 만든 경험만 있던 국내 개발진으로서는 '천금을 주고도 못 얻을' 기회였던 셈입니다. 이처럼 나로호를 통해 기른 역량은 현재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주요 밑거름이 됐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