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미래의 먹거리로 급성장하고 있는 드론산업의 메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아시아 최대규모의 드론 쇼를 열고, 드론 산업 육성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안진우 기자입니다.
【 기자 】
무인기가 100미터 상공까지 수직으로 떠오릅니다.
위를 향했던 프로펠러가 앞쪽으로 각도를 바꾸자 시속 250km까지 속도가 붙습니다.
헬리콥터처럼 수직 이착륙하고, 항공기처럼 빨리 나는 틸트로터 기술은 우리나라가 세계 2번째로 개발했습니다.
▶ 인터뷰 : 주 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본부
- "이착륙 공간이 아주 좁은 곳, 예를 들면 함상에서 이륙해서 원양어선, 특히 참치잡이 선단이 참치 떼를 찾을 때나 최전방에서…. "
적의 정찰용 드론을 격추하라는 지시에 2m 크기의 드론 잡는 드론, 이른바 '드론 킬러'가 이륙합니다.
레이더에 드론이 포착되면 시속 160km의 속도로 직접 부딪힙니다.
부산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쇼 코리아'에서는 최첨단 기종의 드론 100여 대가 선보였습니다.
▶ 스탠딩 : 안진우 / 기자
- "하늘을 나는 드론은 우리 일상생활로 들어오면서 업체들의 경쟁도 치열해졌습니다."
민간 분야의 수요가 커지면서 지난해 5조 8천억이던 무인 항공기 시장은 오는 2023년이면 13조 7천억 원으로두 배 이상 성장할 전망입니다.
▶ 인터뷰 : 정진학 / 부산시 산업통상국장
- "(경남) 사천은 대형기 위주가 되고, 저희는 대한항공 기술 센터를 중심으로 해서 드론 연구가 많이 돼 있는 상태입니다."
부산시는 올해 안에 드론 활용 인명구조 경진대회를 열고 국제 드론 레이싱 대회 개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MBN 뉴스 안진우입니다.
영상취재 : 정운호 기자
영상편집 : 김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