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유공자 등의 무임운송 비용이 3000억원을 돌파했다.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가 지난해 낸 당기순손실의 약 85%를 차지하는 규모다.
28일 서울시가 국회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철의 무임운송 비용은 3154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지하철 무임운송 비용은 전년의 2880억원에서 274억원(9.8%) 늘었다.
무임운송 비용은 2010년 2228억원, 2011년 2315억원, 2012년 2672억원, 2013년 2792억원으로 5년 만에 926억원(41.6%)이 늘었다.
무임운송 비용이 확대된 것은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고 무임운송 이용자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하철 요금은 2012년 2월 150원과 2015년 6월 200원 등 모두 350원(38.9%) 올랐다.
총 승차인원 중 무임운송 이용자 비율도 지난해 처음으로 14%를 넘었다.
지난해 지하철 1∼8호선 이용자 17억 8200만명 중 무임승차 인원은 2억5000만명이었다.
지하철 무임운송 비율은 2010년 12.9%에서 2011년 13.1%, 2012년 13.4%, 2013년 13.5%, 2014년 13.7% 등으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메르스 사태로 인해 지하철 전체 이용자는 3200만명(1.8%) 줄어든 반면 무임승차 인원은 100만명 늘었다.
특히 고령화로 인해 노인 무임승차 인원은 2010년 1억6300만명에서 2011년 1억6900만명, 2012년 1억7700만명, 2013년 1억 8400만명, 2014년 1억9400만명 등 5년 만에 3400만명이 늘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경영 실적에서 무임수송이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당기순손실 대비 무임운송비의 비율은 2014년 기준 67.8%였는데 지난해인 2015년 실적으로는 약 8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요금 인상으로 인해 적자 규모가 준 반면 무임수송비는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가결산 결과 지하철 양 공사의 적자 규모는 3730억원으로 전년(4245억원)에 비해 515억원(12.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하철 공사 적자는 2
서울시 관계자는 “무임수송 정책에 따른 비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국가적으로 전혀 보전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무임수송 비용이 지원되면 그만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철의 적자 폭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