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복 교수 영결식
20년 수감생활에서 느낀 소회를 담은 책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등을 펴낸 고(故)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의 영결식이 엄수됐다.
18일 오전 11시 서울 구로구 성공회대 대학성당에서 성공회식 학교장으로 열린 영결식에는 칼바람이 부는 영하의 날씨 속에서도 유족과 지인, 일반 시민 등 600여명이 찾아 마지막 길을 밝혔다.
![]() |
↑ 신영복 교수 영결식 |
유족과 지인들이 성당 영결식장을 가득 메웠으며, 미처 자리를 잡지 못한 참가자들은 교내 피츠버그홀에서 복도까지 가득 메운 채 영결식 생중계를 지켜봤다.
지난 16일 차려진 빈소에는 첫날 3500여 명, 둘째 날 4000여 명, 이날 350여 명 등 모두 7850여명이 찾았다.
빈소에는 일반 시민뿐 아니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 박원순 서울시장, 노회찬 전 의원,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안희정 충남지사, 이인영 의원, 유시민 의원, 박원석 의원, 안경환 전 인권위원장 등 각계 인사도 찾아 조문했다.
신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서 육사에서 경제학을 가르치는 교관으로 일하던 중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됐다.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은 그는 20년 20일을 복역하다가 1988년 광복절 특별 가석방으로 출소했다.
1989년부터 성공회대에서 정치경제학, 사회과학입문, 중국고전강독을 강의하던 신 교수는 1998년 사면복권됐다.
이후 감옥 생활에서 느낀 한과 고뇌를 편지와 글로 풀어낸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펴내고서는 ‘나무야 나무야’ ‘더불어 숲 1·2’ ‘강의-나의 동양고전독법’ ‘처음처럼’ ‘변방을 찾아서’ 등 활발한 저술활동을 했다. 신 교수는 아울러 ‘신영복체’로 불리는 글씨체로도 이름을 떨쳤다.
신 교수는 2006년 성공회대에서 정년퇴직하고서도 석좌교수로 강의를 이어간 뒤 2014년 희귀 피부암 진단을 받아 그해 겨울학기를 마지막으로 강단에서 내려갔
투병생활을 이어가던 신 교수는 지난 15일 오후 9시30분께 자택에서 호흡이 멈춰 인근 이대목동병원으로 옮겨졌고, 당일 오후 11시47분께 최종 사망선고가 내려졌다. 향년 75세.
한편 신 교수의 시신은 영결식이 끝나고 벽제 시립 승화원으로 옮겨져 화장된다. 장지는 유족들의 의사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신영복 교수 영결식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