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 다시 우리 후손들에게 아픔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습니다”(위안부 피해 할머니 이용수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매주 수요일 12시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개최된 ‘수요집회’가 6일 24주년을 맞았다. 지난 1992년 1월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된 집회는 이날로 1212번째 막을 올렸다. 단일 집회로는 세계 최장기 기록이다.
6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서울 중학동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부가 지난달 말 타결한 한일 위안부 협상을 폐기하고 ‘평화의 소녀상’ 이전 시도를 중단하라며 집회를 열었다.
정대협은 “한일 정부 간 합의는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철저히 배제한 정치적 졸속 야합”이라며 “일본 정부는 일본군의 범죄 인정도 하지 않았고 제대로 사죄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평화비는 시민의 바람과 의지가 담긴 공공의 재산이자 국제사회가 함께 공유하는 평화운동의 상징물로 언제나 그 자리에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대협은 “앞으로 지난달 29일 전국 평화비 건립 단체들과 결성한 ‘전국평화비(평화의 소녀상) 전국연대’와 함께 연대활동을 할 것”이라며 지역 시민사회와 연계해 위안부 문제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 각지에서도 연대 집회가 열렸다. 서울 외에도 부산과 광주, 대구, 울산, 수원 등 14개 도시의 소녀상 주변과 도심에서 지역 여성·시민사회단체 주관 행사가 열렸다. 해외에서도 일본 도쿄 총리관저 앞, 미국, 독일, 프랑스 등 13개국 41개 지역에서 집회와 1인 시위가 잇따라 진행됐다.
정대협은 먼저 수요집회를 각 지역에서 연대해 한 주씩 릴레이로 개최하고,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1억인 거리서명, 할머니와 손잡기 재단설립 모금 활동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전국 평화비 건립 현황 자료집을 만들어 다양한 언어로 번역해 해외에 평화비의 의미를 홍보하는 한편 세계 각지에 평화비 건립을 확산하겠다는 방침이다.
집회에는 서울 소재 13개 대학 총학생회장단, 수도권지방자치단체장 32명, 민주노총, 한국청년연대 등 많은 단체가 동참해 한 목소리를 냈다.
총학생회장단은 집회 1시간 전 같은 장소에서 ‘한일협상안규탄 시국선언’기자 회견을 열어 “피해자의 목소리가 배제된 협상안을 파기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영종 종로구청장 등 서울지역 15개 지자체장과 인천지역 2개 지자체장, 경기지역 15개 지자체장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이번 합의는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됐고, 핵심 조건인 ‘일본 내각이 승인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도 빠져 있다”며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관련한 모든 협상을 원점에서 전면 재
이날 수요집회 장소 맞은 편에선 보수단체인 대한민국어버이연합회가 ‘한일 협상안 수용 촉구’ 기자회견을 열어 마찰을 빚었다. 두 행사 참가자 간에 고성과 욕설이 오갔지만 다행히 경찰 중재로 물리적 충돌 사태로 확대되지는 않았다.
[백상경 기자 / 강영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