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도 도로지만 인도 위에서도 오토바이는 골칫거리입니다.
사람들 사이를 곡예하듯 달리는 건 기본이고, 불법 주정차로 인도를 가로막는 것도 다반사입니다.
법도 없고 단속도 없는 그야말로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김수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자연스레 인도를 달리고, 파란불로 바뀌자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이 마치 보행자 같습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는가 싶더니 차선을 반대로 바꾸는 유턴 족, 모두 인도 주행 범칙금 대상입니다.
▶ 인터뷰 : 인도 주행 오토바이 운전자
- "(원래 안되는 거 아시죠?) 이렇게 돌아오려고…."
횡단보도 주행이 습관화되다 보니 달려오는 차를 보지 못해 위험한 사고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불법 주정차는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 스탠딩 : 김수형 / 기자
- "시민들이 오가는 횡단보도 앞입니다. 인도에 주차된 수많은 오토바이들로 여기가 인도인지, 아니면 주차장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오토바이 주정차 단속이 사각지대에 놓이면서 사실상 방치됐기 때문입니다.
불법 주정차 단속 규정이 없다보니 경찰이 과태료를 매길 수 없어 운전자를 기다려 범칙금을 물리는 게 최선이고,
오토바이 단속 권한이 없는 지자체는 견인만 할 뿐입니다.
오토바이 운전자도 답답한 건 마찬가지.
▶ 인터뷰 : 오토바이 운전자
- "방안을 만들어주고 거기에 맞게끔 행동하라고 하면 되는데 그냥 불법만 얘기하시면 저희는 주차도 못 하고 그럼 끌고 다니지 말라는 얘긴데…."
▶ 인터뷰 : 김필수 /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이륜차 관련법이) 부재 상태이다. 산이나 강에다 버려도 상관이 없을 정도로 폐차에 대한 제도도 아예 없고요."
법도 단속도 '사각지대'에 놓이다보니 오토바이는 오늘도 알면서도 불법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수형입니다.
영상취재 : 라웅비 기자·김창식VJ
영상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