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조운선, 600년 만에 깨어나다…발굴된 유물 보니
↑ 마도 4호선에서 출수된 분청사기/사진=문화재청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지난 4월 22일부터 충남 태안군 마도 해역에서 마도 4호선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선시대 선박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마도 해역에는 조선시대 선박이 침몰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발굴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마도 4호선은 중간조사 결과 '광흥창'이 적힌 목간은 물론 '내섬'이 적힌 분청사기 등 총 300여점의 유물이 출수됐습니다. 특히 유물과 선박 구조 등을 통해 조선시대 조운선(漕運船)이라는 점을 최초 확인한 게 특징입니다. 조운선은 국가에 수납하는 조세미를 지방 창고에서 경창으로 운반하는데 사용한 선박을 뜻합니다.
마도4호선은 마도 북동쪽 해역 수심 9~15m에 파묻혀있습니다. 잔존 규모는 길이 13m, 폭 5m, 선심 약 2m이다. 조선시대 선박 구조를 그려놓은 '각선도본(各船圖本)'에서 보여주는 조운선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선수 판재가 조운선은 가로로, 군선은 세로로 그려져 있습니다. 과거 확인된 고려 시대 선박은 선수 판재가 세로로 설치됐지만, 마도4호선의 경우 선수 판재가 가로로 설치됐습니다.
아울러 좌우 외판재를 연결하는 가룡목(加龍木)이 약 2m 간격으로 6곳에 설치됐습니다. 고려 시대 선박들에서 비교적 얇은 원통목을 사용했지만, 마도4호선에서는 두껍고 강한 횡강력재를 사용해 선체의 견고함을 높여 한층 진일보한 조선 시대 선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박 내부에서 발견된 목간 60여점은 조운선의 항로를 보여줬습니다. 목간 대부분에는 발신처인 나주와 수신처인 광흥창을 뜻하는 '나주광흥창[羅州廣興倉]'이 적혀있었습니다. 이는 전라남도 나주 영산창(榮山倉)에서 거둬들인 세곡 또는 공납품을 관리의 녹봉을 관리하던 조선 시대 국가 기관인 광흥창으로 옮기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전 발굴한 마도 1· 2· 3호선과 달리 마도4호선은 광흥창이라는 국가기관으로 보내는 공물을 적재했다는 점에서 조선 시대 최초의 조운선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목간에는 '두[斗]' '보리[麥]' 등 곡물의 양과 종류를 표기하고 있어서 화물의 물표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선박 내에서 출수된 분청사기 대접과 접시는 140여점 중 3점에 ‘내섬(內贍)’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게 특징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궁궐에 물품을 관리하던 내섬시(內贍寺)를 의미합니다. '내섬'을 분청사기에 새기기 시작한 때는 관청의 명칭을 표기하도록 하는 1417년(태종 17)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울러 분청사기는 10점 혹은 20점 단위로 포갠 후 60점의 분청사기들을 성글게 엮어 만든 망태기에 담아 포장했습니다. 이는 자기를 기형별로 포갠 후 4개의 나무 막대를 길게 덧대 새끼줄로 묶었던 고려 시대 포장 방법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이밖에 세곡으로 선적한 벼와 보리,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전라도 나주목 토산' 편에 공물로 기록된 대나무, 숫돌 등도 함께 출수됐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마도 4호선은 1410~1420년대(태종~세종)에 물품을 싣고 항해하다가 마도 해역에서 침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초로 조선시대 조운선 구조를 확인한 만큼 해양사, 경제사, 도자사, 선박사, 문화사 등 다양한 분야에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