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국보승격,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돼 있어…'가치 무한'
![]() |
↑ 동의보감 국보승격/사진=문화재청 |
보물로 관리되어 왔던 허준의 동의보감이 '국보'로 승격됐습니다.
문화재청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동의보감(東醫寶鑑)' 3건을 각각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319-1호, 제319-2호, 제319-3호로 승격 지정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동의보감은 임금의 병과 건강을 돌보는 어의(御醫)였던 허준(許浚, 1539~1615년)이 1610년(광해군 2) 완성하여 1613년(광해군 5)에 간행된 우리나라 최고(最高)의 한의서입니다. 조선과 중국에서 유통되던 의학서적과 임상의학적 체험을 통한 치료법을 엮은 책입니다.
동의보감에는 병의 이론, 처방, 출전 등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한의학의 백과사전으로 불립니다. 고도의 서양식 첨단 의학이 발달한 오늘날까지도 두루 적용되고 있어 당시 조선의 의학기술이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동의보감은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의학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동양의학의 필독서로 꼽히는 동의보감은 국내외에 36종의 판본이 전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3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2009년에는 '한국적인 요소를 강하게 지닌 동시에, 일반 대중이 쉽게 사용 가능한 의학지식을 편집한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 의서'라는 점을 높게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이번에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지정된 동의보감 3건은 1613년 최초로 간행된 내의원 목활자본으로, 전해지는 사례가 드물어 우리나라 의학
문화재청 관계자는 "앞으로 '동의보감'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단체) 등과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