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리원전 1호기를 폐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원자력해체기술 연구센터 유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전국 8개 지방자치단체가 정부에 유치 신청서를 제출한 가운데 부산·울산, 대구·경북이 공동 유치 전략까지 펼치는 등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2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 해체 연구시설인 원전해체센터는 2019년까지 1473억원을 들여 7550㎡ 규모로 구축할 예정이다. 원전 해체기술은 국내시장의 경우 13조원, 세계시장은 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블루오션 사업이다.
당초 지난해 연말 원전해체센터 설립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결과가 나올 예정이었지만 이 결과가 오는 9월께로 연기되면서 입지선정은 빠르면 올 하반기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지난해 3월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산업단지 내 3만3000㎡를 연구센터 용지로 제공하겠다고 미래부에 제안하고 본격 유치활동에 뛰어들었다. 부산시는 방사선 산업단지가 고리원전과 가까이 있고 입주할 기업, 연구기관 등과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국내 첫 영구 정지 원전을 가진 도시인 부산에서 해체기술 산업을 키우는 건 당연하다”며 “울산과 공동으로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반드시 유치해 앞으로 잇따를 노후 원전 해체 수요를 선점하겠다”고 선언했다.
부산시와 울산시는 원전해체센터 유치를 위해 조만간 공동으로 실무협의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지자체간 경쟁보다는 상생으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겠다는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에만 원전 해체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이 1900개에 이르는 등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이 많다”며 “원전 관련 독점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많고 원전이 밀집한 부산과 울산이 공동으로 대응하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공동유치 의사를 표명하고 원전해체센터 유치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는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 23기 중 절반가량인 11기가 경북에 있다는 점, 원자력 관련 핵심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이 모두 경북에 있다는 점 등을 유치 당위성으로 내세우고 있다.
도는 설계(한국전력기술)와 운영(한수원), 방폐물 처리(한국원자력환경공단) 시설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경북에 원전해체센터가 건설돼야 정부의 원전정책도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란 입장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자력시설 해체는 원전 관련 공기업이 추진해야 되는 국책사업인 만큼 원전기관이 모여있는 경북이 최적지”라고 밝혔다.
영광 한빛원전이 위치하고 있는 전남도는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원전해체센터를 전남에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원전해체센터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
[박동민 기자 / 박진주 기자 / 서대현 기자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