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진 환자, 사망자 2명 늘어 총 9명…모두 60대 이상
![]() |
↑ 메르스 확진 환자/사진=MBN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13명이 추가로 발생해, 모두 108명으로 늘어났습니다.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도 2명이 늘어 총 9명이 됐습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메르스 검사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13명의 추가 사례를 10일 발표했습니다.
이 가운데 10명이 지난달 27일~28일 사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째 확진자에 노출된 사람들로 파악됐습니다. 이들 모두 발열 등 감염 증상이 있어 메르스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고, 검사 결과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습니다.
나머지 3명의 환자는 기타 다른 의료기관에서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명은 16번째 확진자는 각각 건양대병원과 대청병원 동일 병동에서 접촉한 경우이고, 다른 1명은 15번째 확진자와 관련하여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동일 병동에서 접촉했습니다.
대책본부는 새로 추가된 확진자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노출된 98번째 확진자는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메디힐병원(서울 양천구 소재)에서 입원치료 중 지난 8일 이대목동병원으로 이송됐고, 메디힐병원에 대해서는 접촉자를 파악하여 추적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의료기관 내 격리조치를 시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대목동병원의 경우는 환자 본인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방문하였고, 병원 의료진이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를 맞이한 후 격리실로 바로 이송 조치하여, 감염 우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105번째 확진자도 삼성서울병원에서 노출된 확진자로 지난 8일 서울성모병원 응급실을 내원했습니다.
서울성모병원은 이와 관련하여 "사전 전화통화로 메르스를 의심한 의료진들이 완벽한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환자를 맞이한 뒤, 응급실 밖에 마련된 메르스 임지 진료소로 이송·진료 후 음압격리병상으로 이송함에 따라 의료진과 직원 중 접촉자가 없으며, 환자 본인도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대책본부는 확진자 중 2명의 추가 사망자도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8번째 사망자는 90번째 확진자(남, 62세)로 알코올성 간경변과 간암 병력을 갖고 있었으며, 을지대학교병원 중환자실에서 격리치료 중 상태가 악화되어 사망했다.
9번째 사망자는 76번째 확진자(여, 75세)로 다발성 골수종 병력을 갖고 있었으며, 지난 6일 호흡곤란으로 대전 소재 을지대학교병원 응급실 방문 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사망했습니다.
8, 9번째 사망자 모두 삼성서울병
대책본부는 삼성서울병원 확진자와 관련하여, 이제는 확진자들의 병원 방문에 따른 또 다른 병원 내 다수 감염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메르스 차단의 핵심요인임을 밝히면서, 이를 위해서는 이대목동병원, 서울성모병원 사례와 같이 정부 뿐 아니라 의료기관 종사자 및 국민 전체의 신뢰와 협조가 필요함을 당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