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연장근무 거부·태업 위협 등에 따른 우려 해소할 수 있게 돼”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어떤 이점이?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연장근무 거부·태업 위협 등에 따른 우려 해소할 수 있게 돼”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이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개성공단 북한노동자 임금 문제를 둘러싼 협상이 22일 타결됐다. 북한당국이 임금 인상에 관한 주장을 철회하고 우리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이번 주 초부터 우리 측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와 북한 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간 확인서 문안에 관한 집중 협의로 오늘 확인서 문안에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 |
↑ 개성공단 임금문제 타결 |
확인서에는 ‘개성공업지구에서 노임은 기존 기준에 따라 지급하되 2015년 3월1일부터 발생한 개성공업지구 노임의 지급 차액과 연체료 문제는 차후 협의결과에 따라 소급 적용할 것을 담보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존 기준은 개성공단 노동규정 개정 전 기준으로 최저임금 70.355달러라는 게 통일부의 설명이다.
이에 통일부는 “이번 확인서는 남북
이어 “기업들은 노동규정 개정 전 기준에 따라 임금을 납부할 수 있게 됐으며 임금 미납으로 인한 북측의 연장근무 거부·태업 위협 등에 따른 생산차질 우려 등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