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제공 = 경기도] |
경기도가 최근 발표한 2014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출신이 아니지만 ‘고향 같다’고 응답한 40대는 59.4%였으며, 경기도가 고향인 40대는 17%로 모두 76.4%의 40대가 경기도를 고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40대의 65.3%는 앞으로도 계속 경기도에 거주하고 싶다고 응답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기도 했다. 또 40대 경기도민의 77.4%가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40대 인구 10명 중 8명이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0명 미만인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40대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10~100명 미만이 32.7%, 100~500명 미만이 10%, 500명 이상이 8.5%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체가 21.1%로 가장 많았으며 도매·소매업이 15.1%, 건설업·교육서비업이 각각 8.2% 순으로 조사됐다. 남여 모두 제조업체에서 가장 많이 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임금근로자가 74.1%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주는 22.3%, 무급가족종사자는 3.6% 순이었다.
직업을 선택할 때는 안정성(29.5%)보다는 수입(31.1%)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가 지원했으면 하는 분야로는 35.1%가 일자리 발굴사업, 29.9%가 취업알선, 14.3%가 창업 지원 등을 원했다.
호주 또는 세대주와는 다른 개념으로 가정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생계책임자를 나타내는 가구주 조사결과 경기도 40대는 66.8%가 아파트에서, 19.5%가 단독주택, 13.7%가 연립·다세대주택 등에서 살고 있다. 52.9%가 자기 소유의 집이며, 전세가 25.6%, 월세가 19.9% 순이었다.
면적별로는 소형주택인 66㎡(약 20평)미만이 45.7%, 66~99㎡(약 20~30평)가 37.5%, 99㎡(약 30평)이상이 16.8%다. 자신이 느끼는 사회적 계층을 묻는 질문에는 40.4%가 중하류층, 15.1%가 하류층에 속한다고 응답했다.
이재철 경기도 정책기획관은 “2014년 말 기준 경기도 인구는 1271만 명으로 이 가운데 18.7%인 237만 명이 40대”라며 “이번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 40
경기도는 지난해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15일간 도내 2만1960가구(만 15세 이상 4만8820명)를 대상으로 교통과 경제, 주거, 교육 등 총 54개 문항에 대한 2014 사회조사를 실시했다. 신뢰도는 95% 신뢰수준이며 오차는 ±0.6%p다.
[매경닷컴 장주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