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승차권 발권 절차 없이 스마트폰 모바일 티켓만으로 고속버스에 탑승할 수 있게된다.
미리 예약을 못하더라도 고속버스 내에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해 승차권을 발권받을 수도 있으며, 고속버스 내에서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요금 결제도 가능해진다.
27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동안 시범운영을 거친 'E-PASS(고속버스 다기능 통합단말기)' 서비스를 다음달 2일부터 전국 고속버스 153개 모든 노선을 대상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지금도 일부 노선에는 홈티켓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 노선은 출발 1시간 전까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예약하고 터미널에 도착해 매표창구 또는 무인발매기에서 종이 승차권을 발권받아야 했다. 이로 인해 예약을 하고도 발권 절차 때문에 눈앞에서 버스를 놓치는 등 승객들의 불편이 많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승차권을 예매한 후 인쇄한 홈티켓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예매한 모바일 티켓이 있다면 별도 발권 절차 없이 바로 고속버스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또 미리 예매하지 못했지만 버스에 빈 좌석이 남았다면 발권절차 없이 고속버스에서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로 요금을 결제한 뒤 승
국토부는 E-PASS 시스템을 통해 고속버스 운행·도착 안내 서비스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터미널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은 터미널 내 안내장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버스의 현재 이동경로와 도착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박윤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