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통죄, 존폐 여부 앞두고 있어…해외 사례는 어떨까 ‘관심 집중’
간통죄 , 간통죄
간통죄, 다른 나라는?
간통죄 존폐 여부를 앞 둔 가운데, 해외 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법조계와 학계에 따르면 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도 우리나라와 대만 등 극소수 국가만 형법상 간통죄를 처벌한다.
그나마 대만 형법상 간통죄의 법정형은 우리보다 낮은 1년 이하의 징역이다.
미국은 20여개 주(州)에 간통죄가 남아있지만, 실제로 처벌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사문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의 경우 프랑스대혁명 때인 1791년 간통죄 처벌 규정을 없앴다.
![]() |
↑ 간통죄 |
독일(옛 서독)은 당초 간통한 사람을 6개월 이하의 징역에 처했으나 1969년 개정 형법에서 이 조항을 삭제했다.
중국은 협박의 수단을 동원해 현역 군인의 부인과 간통한 경우에 한해 3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다. 다만, 단순한 간통은 처벌하지 않다.
덴마크는 1930년, 스웨덴은 1937년, 일본은 1947년
또 우간다 헌법재판소는 2007년 한 여성단체 청구를 받아들여 부인만 처벌하도록 한 간통죄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이에 우리나라 역시 전세계적인 흐름을 따를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간통죄, 간통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