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문 공항인 김포국제공항에 최대 4개의 단거리 국제선이 추가로 개설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서울 상암동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열린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2015~2019) 공청회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본계획 수립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 내용적으로는 인천공항 허브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어서 정부의 김포공항 활성화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항공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 일본 등 수도권 경쟁공항이 공격적 행보로 항공 수요를 선점하자 서울 도심과 가장 가까운 김포공항의 위상을 재정립해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국토부는 이날 "4차 공항개발중장기종합계획(2011~2015)에서 2020년 김포공항 국제선 수요를 473만명±20만명으로 예측한 만큼 2020년까지 국제선 3~4개를 추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2020년이 되면 수도권 수요 등 여건을 고려해 재검토 하겠다”고 밝혔다.
김포공항은 반경 2000km 이내 49개 공항에 취항할 수 있지만 인천공항 허브화정책에 따라 중·일·대만 등 3개국 6개 공항 취항에 그치고 있다. 최대 4개 국제선 추가 소식은 나름 반가울 수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도움이 안된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국토부가 김포공항 허브 경쟁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김포공항으로부터 근거리 △동북아·국내 관광수요 유치가 가능한 중국 중소 도시 △정기노선 미개설 또는 개설됐더라도 국적사가 미취항한 저환승율 도시를 선정 기준(안)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도시는 일본 후쿠시마, 하코다테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원전사고 등으로 항공 수요가 그다지 높지 않은 곳으로 분류되는 곳이다.
이 같은 기준은 김포공항을 '비즈니스 중심 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정책과도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중국 칭타오, 심양, 다례 등에서 비즈니스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이 지역은 이미 국적사 등이 인천공항에 취항하고 있어 김포공항 국제선 확대 기준에 저촉된다. 항공 업계 관계자는 "향후 늘어날 항공수요를 감안할 때 이들 노선은 김포공항에 줘도 인천공항 환승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서 "수요가 두터운 노선은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이 적절히 분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는 인천공항 허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환승 인센티브 확대
국토부는 이날 공청회 내용을 바탕으로 항공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다음달 중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