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담배를 더 많이, 더 오랫동안 피우는 것으로 파악됐다. 진료비 부담 역시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높았다.
30일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운영실과 함께 지난해 건강검진 수검자 604만 명 중 19세 이상 흡연 남성 246만 명의 건보 진료비 등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더 오랫동안 더 많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흡연자들은 평균 하루 한 갑씩 17년(16.67갑년) 동안 흡연하는데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소득 1분위는 평균 19.04갑년으로 고소득층인 소득 4분위 평균(17.25갑년)보다 전체 흡연기간 동안 약 653갑의 담배를 더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년(pack year)이란 하루 평균 담배 소비량(갑)에 흡연기간을 곱한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10갑년은 하루 한 갑씩 10년을 피우거나 하루에 두 갑씩 5년간 피웠다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소득수준이 낮은 흡연자일수록 진료비 부담이 높았다. 복지부에 따르면 소득 1분위 저소득층 흡연자의 평균 진료비 부담은 평균 82만5000원으로 소득 4분위 흡연자 부담(평균 50만1000원)보다 약 1.6배 많았다.
또 담배를 매일 두 갑씩 2
[박윤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