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삼각대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인천대교 버스추락은 솜뭉치에 불과한 가드레일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이 사고 이후, 가드레일 설치기준이 강화돼 전국에서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돈이 없어서 제대로 바꾸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원중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2010년 인천대교 버스 추락 사고는 가드레일 안전 기준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버스가 가드레일을 뚫고 10미터 아래로 떨어져 피해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가드레일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충돌시험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차량이 가드레일을 뚫고 넘어가버리거나,
가드레일에 튕겨져 나와 2차 사고를 유발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막기 위해서입니다.
안전 기준을 통과한 가드레일은 차량이 충돌해도 넘어가거나 튕겨나가지 않고 그대로 끌고 가도록 설계됐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국도의 경우, 전체 1,495km 가운데 지난해까지 659km의 가드레일이 교체됐고, 2018년까지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스탠딩 : 원중희 / 기자 (전북 완주군 모래재)
- "이곳 도로는 해마다 차량이 가드레일 밖으로 떨어져 사망 사고가 발생하던 곳입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충돌시험을 통과한 가드레일을 설치한 뒤로는 사망사고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지자체가 관리하는 지방도로의 경우는 사정이 다릅니다.
깨지고 구부러진 가드레일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산 부족 때문입니다.
▶ 인터뷰 : 모 지자체 관계자
- "지자체 여건하고는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요. 도로는 굉장히 넓은데 예산은 적고. 또 도로 관리하는 인원도 적고…."
가드레일 보강 작업이 원활히 마무리되지 않는 한, 위험 부담은 고스란히 운전자가 질 수밖에 없습니다.
MBN뉴스 원중희입니다. [june12@mbn.co.kr]
영상취재 : 김준모 기자
김회종 기자
영상편집 : 원동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