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위 : 명) [자료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따르면 ‘불임(N46, N96-97)’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의 전체인구가 2008년 16만2천명에서 2012년 19만1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11.8%, 여성은 2.5%로 남성에서 비해 여성의 비율이 높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같은 기간 연령대 별로 인구 10만 명당 불임 진료현황을 따져보면 남성은 35∼44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6.2%)했고, 이어 45∼49세에서 12.8% 증가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35∼39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0.8%)했고, 이어 40∼44세에서 1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 기준으로 여성 불임환자는 30∼34세가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5∼39세(1,920명), 25∼29세(1,352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0~40대의 불임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하여 공단 관계자는 "결혼 시기가 30대 초반 이후로 늦추어지고, 사회적 기반을 잡은 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가 30대 중반으로 늦춰지는 경향이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는 35세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불임이란 임신을 계획하여 피임을 시행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를 말하는데, 과거에는 불임에 대하여 여성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분위기가 많았지만 근래에는 남성에게도 많은 원인이 제공된다는 인식이 높아짐으로 인해 불임치료를 위한 불임검사를 받는 남성의 환자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불임은 임신을 미루는 상황에서 불임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는 사회적 풍조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불임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불임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많은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인천 논현동 맑은숲한의원의 박재섭 원장은 “불임의 원인은 남성과 여성,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 등 성별과 병리적 이상 증세에 따라 너무나도 다양하기 때문에 임신이 쉽게 되지 않는 부부라면 부부가 함께 한
현재 정부는 체외수정시술 및 인공수정시술 등 특정치료를 요하는 일정 소득계층 이하의 난임 및 불임부부에게 시술비 일부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건복지콜센터(129)를 통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영상뉴스국 김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