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 절대평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될 전망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20일 공청회를 열고 강태중 중앙대 교수의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방안 모색' 정책연구안 발표를 경청했다.
교육부의 정책연구를 맡은 강 교수는 우선 수능 영어영역의 절대평가 기준은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절대평가 등급 안으로 4~5개 등급 안과 9개 등급 안을 제시한 강 교수는 '절대평가 방안은 크게 몇 개 등급으로 성취도를 표시할 것인가' '등급을 나누기 위한 구획 점수는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등이 쟁점사항이라고 정리했다.
앞서 지난 8월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오는 2017학년도 혹은 2018학년도부터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계획을 시사한 후 정부가 공식적으로 절대평가 도입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도완 교육부 대입제도과장은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은 기정사실이고 공청회는 등급 산정 등 구체적인 방식을 연구하기 위한 성격이 강하다"며 "도입 시기는 빠르면 2018학년도 도입된다는 것이고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24일 전남대학교와 29일 부산시교육청에서 공청회를 연 후 올
수능 영어 절대평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수능 영어 절대평가, 더 좋아지는 건가" "수능 영어 절대평가, 부담은 줄어들겠네" "수능 영어 절대평가, 사교육 줄일 수 있을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