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리는 고(故) 이태석 신부의 생가가 마침내 복원됐다. 관련 사업들도 잇따라 추진될 예정이어서 이 신부의 참사랑 정신이 부산 서구에서 다시 꽃 피우게 됐다.
부산 서구는 8일 오전 남부민동 송도성당 인근에 복원된 이태석 신부의 생가 개장식을 열었다.
이 신부의 생가는 한국전쟁 직후 부산에 살던 호주인들이 지은 집 가운데 하나이다. 방 3칸, 부엌 1칸으로 총면적 40㎡ 규모의 단출한 집으로 이 신부의 형 태원 씨의 고증을 받아 복원했다.
내부에는 이 신부의 유년과 학생 시절을 떠올릴 수 있도록 작은 좌식책상과 책·기타 소품을 배치했다. 이 신부의 봉사활동 모습 사진도 함께 전시했다.
이 신부는 1962년 태어나 서른이 되던 해 종교에 귀의했다. 2001년 성직자의 신분으로 아프리카에서도 오지로 불리는 수단의 남부 '톤즈'에서 말라리아와 콜레라로 죽어가는 환자들을 위해 병원을 세우고 의료봉사활동을 하다가 대장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010년에는 이태석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울지마 톤즈'가 만들어지면서 이 신부의 선행이 대중에게 널리
한편, 생가 관리는 ㈔이태석신부 참사랑실천사업회가 맡는다.
사업회 측에서는 생가를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생가 주변 폐가를 게스트하우스로 리모델링해 개장했다. 서구는 또 생가 일대에 52억원을 들여 이태석 신부 기념관과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