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 생명공학연구소와 서울대 수의대는 유전자 삽입에 따른 소의 형질전환 여부를 형광 물질로 확인할 수 있는 '형질전환 형광 소' 생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형질 전환이란 외부 유전자 주입을 통해 생명체의 형질이 변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사람에게 필요한 유전자를 이 소에 넣어 우유로 분비하도록 하면 유용한 단백질을대량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형질전환 소를 생산할 때 바이러스를 이용해 외래 유전자를 소의 정자, 난자, 수정란 등에 넣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암 유발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진은 이번에 바이러스 대신 게놈 안에서 위치를 옮길 수 있는 유전자인 트랜스포존(transposon)을 활용했습니다.
연구진은 트랜스포존을 수정란에 직접 미세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또 미세주입 방법으로 유전자를 삽입한 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해 형질전환 소를 생산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어난 소는 녹색 빛을 내는 '녹색형광단백질'을 갖고 있는데 처음에는 녹색을 띠지만 재조합 단백질을 주입하면 주둥이, 발굽 등 신체 부위가 적색으로 바뀝니다.
형광 물질은 형질전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외부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주입되면 주둥이, 발굽 등 소 신체 부위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바뀝니다. 공동 연구를 진행한 서울우유와 서울대는 이 방법을 소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