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해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은 해양경찰청은 망연자실한 분위기입니다.
해양경찰청 본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통일 기자.
(네, 해양경찰청입니다.)
【 질문 】
해경으로서도 조직 해체라는 결과를 미처 예상치 못했던 만큼 충격이 이만 전만이 아닐 텐데요 현재 분위기 어떻습니까?
【 기자 】
네 현재 해경은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평소와 다름 없이 정상적인 일과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직원들은 가급적 말을 아끼며 언론과의 접촉을 피하는 모습입니다.
본청 입구에 내걸린 박근혜 대통령의 자필 액자 속 글귀는 해경이 처한 지금의 상황과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인천 해양경찰서를 방문해 '해양주권과 해상안전의 수호자 해양경찰'이라고 손수 적은 바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 담화에서는 "해경의 구조업무는 사실상 실패했다"며 해양경찰청을 해체하겠다고 밝힌 겁니다.
겉으로는 차분한 모습의 해경이지만, '조직 해체'라는 소식은 충격 그 자체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해체 결정에 따라 지난 1953년 내무부 치안국 산하의 조그만 조직으로 출발했던 해경은 61년 만에 해체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이번 세월호 사고 이후 실망스런 모습을 안겨준 해경으로서도 조직 와해라는 충격적인 결과에 이렇다 할 목소리를 내놓지 못한 채 조금 전 진도 군청에서 진행된 김석균 청장의 브리핑 내용으로 해경의 입장을 대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김 청장은 국민의 뜻에 따르겠다며 겸허히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일각에서는 세월호 실종자 수색과 구조 작업을 해경이 주도하는 상황에서 이번 결정이 자칫 수색 인력의 사기를 저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1만 2천 명의 인력 규모와 연간 예산이 1조 원이 넘는 해경은 17개 외청 가운데 규모가 4번째로 큰 조직인인데요,
향후 어떠한 절차와 방식으로 해체 수순을 밟을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양경찰청에서 MBN뉴스 박통일입니다. [ tong1@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