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400만 명이 이용하는 서울지하철 1∼4호선 전체 구간 중 36%가량이 내진 기능을 갖추지 못해 대규모 지진 발생 시 시민 안전을 위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진단됐다.
한반도 주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내진 보강이 시급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보강 공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새누리당) 의원이 서울시와 서울메트로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1∼4호선 전체 146.8㎞ 구간 중에서 내진 기능 보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구간은 127.3㎞다.
이 가운데 지진에 견딜 수 있는 구간은 74.1㎞에 불과하고 나머지 53.2㎞는 지진에 매우 취약한 상태다. 지진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판단된 53.2㎞는 1∼4호선 전체 구간의 36%에 달한다.
1971년 1호선 착공부터 1993년 4호선 개통까지는 도시철도 건설 시 내진 설계를 적용해야 한다는 기준이 없어 관련 공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건설교통부는 2005년 '도시철도 내진설계 기준'을 만들어 도시철도가 5.7∼6.3 규모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2009년부터 지진 안정성 평가를 시행해 고가·교량·지상정거장 20.2㎞는 보강 공사가 우선 필요한 '핵심시설'로 분류했다.
또 옹벽·지하박스(지상에서 땅을 파서 시설을 만든 뒤 천장을 덮는 형식으로 공사한 구간) 33.0㎞ 구간은 핵심시설 다음으로 공사가 필요한 '중요시설'로 진단했다.
하지만 안전성 진단 후 실제로 보강 공사가 들어간 구간은 그리 많지 않다.
서울메트로는 2호선 신림∼신대방, 4호선 당고개∼상계 등 4개 구간에 대해서는 작년 공사를 시작했지만 이를 전부 합쳐도 3.3㎞에 불과하다.
하루 400만 명, 일 년 15억 명 이상이 이용하는 1∼4호선 내진 보강 공사가 이처럼 지지부진한 이유는 사업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내진 보강 공사에 총 322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양측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투자한 돈은 470억원에 불과하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간 투자할 836억원을 더해도 전체 비용의 41%에 불과한 실정이다.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부채 규모가 각각 17조원과 3조3000억원에 이르는 적자 구조 속에서 3000억원이 넘는 공사비를 한꺼번에 감당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토로해왔다.
이 때문에 양측은 "과거 건설 기준 미비로 내진 기능이 확보되지 않은 구조물에 대해서는 현재의 건설 기준을 준용해 국비를 지원해달라"며 지난해 228억원을 요청했으나 정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현재 정부는 신규노선 건설에만 총사업
서울시가 만약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한다면 서울지하철 내진 공사는 10년 이상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서울 5∼9호선과 부산·광주·대구·인천·대전 지하철이 모두 내진 기능을 갖춘 상황에서 1∼4호선만 장기간 불안 상태에서 운행될 수밖에 없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