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현장에서 구조작업을 하던 민간잠수사가 숨진 지 나흘째를 맞았지만 해당 잠수사의 보험 문제와 보상 등에 대한 당국의 대책은 여전히 '하세월'이다.
지난 6일 구조작업 중 숨진 이광욱(53)씨는 보험 가입이나 자격 검증 없이 위험한 구조현장에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여전히 이씨의 자격증 보유 여부를 확인 중이고 의사상자 지정 절차 추진 외에는 보상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미 일어난 부실한 절차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정부의 늑장 대처다.
정부는 언딘에게 보험 등 고용여건에 관한 책임을 떠넘기는 형국이고 언딘은 보험사를 구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언딘 박영모 이사는 "사고 현장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것이다. 저런 위험한 현장에 투입되는 잠수사의 보험을 들어줄 보험사가 어디에 있겠느냐"면서 "정부 차원에서 명확한 대책을 마련해 주지 않으면 추가 투입된 민간잠수사들의 기본적인 고용 여건을 갖추기가 어렵다"고 답답한 심정을 밝혔다.
이런 늑장 대응 때문인지 일부 민간잠수사들은 이씨의 사고 후 현장을 떠나기도 했고, 5명의 잠수사는 입수(入水) 대신 대기를 하거나 보조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기존에 고용된 민간잠수사들로 어떻게든 구조작업을 이어가고 있지만, 추가 잠수사 투입이 안 된다면 이 또한 체력적 한계에 부딪혀 '시한부' 구조작업이 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해경은 지난 7일부터 1차 수색을 마친 64개 객실에 대한 재수색, 매점과 화장실 등 공용공간에 대한 수색을 진행하면서 잠수 인력이 더 필요해 언딘 측에 민간잠수사 추가 투입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씨의 사고 후 구조작업에 지원한 민간잠수사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사고현장에는 언딘 소속 잠수사와 이씨와 함께 추가 투입된 민간잠수사 12명을 합쳐 32명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 이사는 "사고 후 잠수사 5명이 사고에 대한 불안감에 입수 대신 다른 보조 업무를 하고 있다"면서 "보험이나 보상 대책도 없는 상황에서 일부 잠수사들이 위험한 구조현장에 들어가려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보건공단 규정에도 1노트(약 시속 1.8㎞) 이상의 유속에서는 잠수하지 못하게 돼 있다. 그럼에도 실종자 가족과 국가적 비상상황에 대한 사명감으로 나머지 잠수사들은 구조작업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구조작업에 총괄 책임을 진 정부에서 대책을 마련해 줘야지 지금처럼 모든 책임을 언딘에게 떠넘기려 한다면 대책 마련이 어려운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 속에 '마지막 희망'인 잠수사만 바라보는 가족들은 하소연할 곳을 찾지 못하고 냉가슴만 앓고 있다.
해경 측 역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
해경의 한 관계자는 "아직 명확하게 민간잠수사들에 대한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