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복지가 중요한 시대가 되면서, 이른바 '잘 나간다'는 정치인들이 보건복지부 장관을 맡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결과는 그다지 좋지 못했습니다.
보도에 김천홍 기자입니다.
【 기자 】
거물급 정치인이었던 고 김근태 의원은 장관 재직 당시 이헌재 경제 부총리와 정면으로 부딪쳤습니다.
경기 부양을 위해 국민연금을 동원하려던 이 부총리에 대해 김 전 장관이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나선 겁니다.
정부와 엇박자를 냈다는 점에서 진영 장관의 행보와 닮은 부분이 있습니다.
배턴을 이어받은 유시민 전 장관은 이른바 '더 내고 덜 받는' 국민연금법 개혁안이 국회에서 부결되자 장관직을 사퇴했습니다.
하지만, 유 전 장관의 사퇴는 당시 친노파의 갈등설 속에 정치적 배경을 의심받았습니다.
2년이나 복지부를 이끌었던 전재희 전 장관은 최근 한 의사단체로부터 고발까지 당했습니다.
'리베이트 쌍벌제' 법안 통과를 위해 검증되지 않은 사실들로 국회의원들을 현혹시켰다는 겁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변인을 지냈던 진수희 전 장관 역시 국민연금과 의약분업 등 굵직한 현안들 사이에서 리더십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공교롭게도, 이들 정치인 출신 장관은 모두 복지부를 떠난 후 정치적으로
이 같은 실세 정치인의 '장관직 잔혹사'에 대해, 애초에 정치인과 복지부 장관직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복지부 장관직 수행을 위해서는 수많은 이익 단체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있는 뚝심이 필요한데, 인기를 먹고사는 정치인은 이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MBN뉴스 김천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