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다시피 넉달 전에도 구미에서 불산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했는데,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비하고 있을까요.
MBN이 취재해봤더니, 지금까지도 매뉴얼 수정 작업에 매달려있는가 하면, 소방서에서는 불산가스 누출 관련 훈련 한번 제대로 해본 적이 없습니다.
이상곤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해 10월 도내 불산 취급 업체 28곳을 특별점검했던 경기도청.
'모든 업체가 안전하다'는 평가를 내린 뒤 불과 3개월 만에 사고가 발생하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합니다.
▶ 인터뷰 : 경기도청 관계자
- "우리가 또 인간이고 100% 다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완벽하게 점검 못했어요)."
삼성전자라는 이름만 믿고 점검을 소홀히 한 점도 사실상 인정합니다.
▶ 인터뷰 : 경기도청 관계자
- "삼성에서까지 사고가 다 일어나나. 저희들도 상상을 못했죠."
평소 꼼꼼히 대처하지 못한 건 소방당국도 마찬가지.
구미 불산 사고가 난 지 4개월이 지났지만, 이제껏 한 번도 불산 누출에 대비한 훈련을 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화성소방서 관계자
- "저희도 어찌할 도리가 없어요."
처벌 규정도 문제입니다.
소중한 생명이 희생됐지만, 삼성전자에 내려지는 처벌은 과태료 100만 원 정도가 전부입니다.
▶ 인터뷰 : 조은희 / 환경부 화학물질과장
- "유해법상 위반에 해당하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게 돼 있습니다.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의 벌칙과 과태료가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주민들은 허술한 정부 관리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진희 / 경기 오산시
- "분통터지고, 유족분들 안타깝죠."
▶ 스탠딩 : 이상곤 / 기자
- "불산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는 4개월째 위기관리 매뉴얼만 수정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상곤입니다."
영상취재 : 박인학·김회종 기자
영상편집 : 송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