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수도권으로 북상한 태풍 볼라벤의 바람은 위협적이지만, 강수량은 많지 않습니다.
마른 태풍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어떤 이유인지, 이권열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 기자 】
태풍이 지나가고 있지만, 서울을 비롯한 중부 지역에 내린 빗줄기는 약합니다.
볼라벤의 최대 풍속이 초속 50미터에 달할 정도로 빨랐다는 점이 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한곳에 머무르며 비를 뿌리지 못하고 재빨리 이동했다는 설명입니다.
볼라벤은 또 한반도의 옆을 훑으며 북상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에는 남풍이 불게 되는데 비를 머금은 바람이 남부 지방을 거쳐 중부 지방에 도착할 때쯤 수증기를 잃어버렸습니다.
▶ 인터뷰(☎) : 변희룡 /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
- "풍향이 남서풍으로 바뀌지 않는 한 중부 내륙 지방에는 큰 비가 오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남해안 지방에 비를 뿌리고 올라가거든요."
볼라벤은 한반도 북쪽, 북한으로 들어갈 때는
내륙으로 올라가던 바람이 바다를 거치며 수증기를 얻어 북한과 중부 지방에 비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
강한 바람이 지나간 뒤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는 만큼 마음을 놓기보다 비 피해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MBN뉴스 이권열입니다.<2kwo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