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밝힌 미래유산 보존 사업, 그 취지는 좋습니다만, 놓치는 부분도 많습니다.
구한말이나 개인 또는 특정 집단 유산과 유적이 사각지대에 방치될 가능성이 큽니다.
갈태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최근 붕괴 위험 논란을 빚었던 명동성당 주교관.
1890년 지어진 명동성당 최초의 건물로, 성당 본당보다 8년 먼저 완공됐습니다.
하지만, 1977년 성당 본당의 사적 지정 당시, 주교관은 사적에서 제외됐습니다.
문화재 가치가 있는데도 문화재가 아니란 얘기입니다.
그럼에도, 주교관은 본당 주변 문화재 보호구역에 포함돼, 문화재청 허가가 있어야만 손을 댈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서울 중구청 관계자
- "문화재가 아닌데, 성당 본당보다도 몇 년 더 빨리 지어졌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걸 보호하는 차원에서 그쪽(문화재청)하고 협의를 보는 거죠."
문제는 서울시의 이번 발굴·보존 대상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1900년 이후 유적이 보존 대상인데다 특정 종교와 관련돼 행정력이 미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의친왕 이강이 35년 동안 별궁으로 삼았던 성락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2008년 명승으로 지정돼 문화재 혜택을 보고 있지만, 개인 소유여서 일반 시민은 방문이 어렵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서울시의 발굴·보존 방안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박원순 / 서울시장
- "서울형 문화유산의 경우엔 강제력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강조했듯이, 시민들의 참여가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격동기 근대화 발자취가 선명한 우리 문화재, 하지만 서울시 선정에서 제외될 경우 사각지대에 방치될 우려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갈태웅입니다. [ tukal@mk.co.kr ]
영상취재 : 김병문·배병민·김회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