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 과정에서 청와대의 증거 인멸 개입 의혹과 관련 검찰이 사실상 재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당시 수사 과정에서 윗선의 회유와 압박이 있었다는 구체적인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김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검찰의 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 당시 청와대가 증거 인멸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사실상 재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장진수 전 주무관의 주장이 수사의 단서가 될 수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재수사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이와 관련 증거인멸을 은폐하기 위해 윗선의 회유와 압박이 있었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습니다.
당시 증거인멸에 가담한 혐의로 재판 중인 장 전 주무관은 검찰 조사 직전 상급자인 진경락 전 과장으로부터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 인터뷰 : 장진수 / 국무총리실 전 주무관
- "진경락 과장이 저희 직원들 모아놓고 얘기한 적 있었죠. 형량을 낮게 받는 방법은 단독 범행이 가장 좋다…."
장 전 주무관은 이후 재판 진행 과정에서도 청와대 개입설을 차단하기 위한 윗선의 회유는 계속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증거인멸을 지시하며 대포폰을 건넨 것으로 알려진 최종석 전 행정관은 검찰 수사를 피하기 위해 장 전 주무관의 입을 막으려 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장 전 주무관은 또 최 전 행정관이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에 불만을 터뜨리자 김진모 당시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검찰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 스탠딩 : 김태영 / 기자
- "이번 폭로를 계기로 청와대 개입설의 실체를 규명하고 부실수사 논란을 끝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태영입니다." [ taegija@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