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의 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경찰의 반발이 조직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형사의 상징인 수갑을 반납하겠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택성 기자!
(네, 사회부입니다.)
【 질문 】
이번엔 일회성 반발 정도로 그치지 않을 것 같은데요, 현재 경찰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 기자 】
이미 전해 드린 것처럼 수사경과 반납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어제 하루 동안 무려 3,000건 넘는 수사경과 반납 신청서가 접수됐는데요.
지금 현재 수사경과 반납 신청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어 1만 건을 훌쩍 넘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형사의 상징인 수갑을 반납하겠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는데요.
수사업무와 함께 수갑도 총리실에 반납해버리자는 의견이 스마트폰 어플 등을 통해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늘 밤 충북 오송에서는 일선 경찰과 시민, 학생, 교수 등이 모여 토론을 열고, 참석한 경찰들은 수갑을 반납하기로 했습니다.
또 박종준 경찰청 차장은 오늘 아침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입법예고안 수정이 안 되면 형사소송법 재개정 입법이라도 추진하겠다"고 밝혀 경찰의 강력 대응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줬습니다.
그런가 하면 조금 전인 3시에는 전직 경찰 모임인 재향 경우회 회원들이 경찰청을 찾아 이번 수사권 조정안을 규탄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는데요.
상황이 이런 가운데, 어제에 이어 오늘도 정치권이 경찰을 거들고 나섰습니다.
한나라당 김정권 사무총장은 주요당직자회의를 통해 이번 수사권 조정안이 형사소송법의 개정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사무총장은 "지난 6월 대정부질문 때 이귀남 전 법무부장관이 경찰의 내사는 수사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분명히 말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