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검찰이 SK그룹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선 배경에 눈과 귀가 쏠리고 있습니다.
검찰이 그간 내사를 통해 불법 정황을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오이석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지난 8월부터 내사를 진행해 온 검찰이 SK 계열사와 국세청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며 공개수사로 전격 전환했습니다.
검찰이 수사하고 있는 의혹은 크게 두 가집니다.
하나는 최태원 회장이 회삿돈을 이용해 선물투자를 했는지 여부와 이희완 전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장을 통해 SK가 세무조사 무마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입니다.
그동안 검찰은 최 회장이 선물 투자로 입은 손실을 창업투자사 베넥스인베스트먼트에 투자한 SK계열사 자금으로 보전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해 왔습니다.
검찰은 수 개월 간 베넥스 관련 계좌를 추적한 끝에 SK그룹 계열사들이 투자한 2천800억 원 가운데 500억 원 정도가 최 회장의 투자자금으로 쓰인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특히 검찰은 지난 4월 선물투자로 3천억 원의 손실을 본 최 회장이 SK계열사 투자금을 유용했다는 혐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최 회장이 위장계열사를 동원해 돈세탁을 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 검찰은 위장계열사 의혹이 있는 회사들도 압수수색했고, 이들 계좌가 최 회장의 차명계좌로 이용됐는지도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이와 별도로 이희완 전 서울지방국세청 조사2국장의 'SK그룹 30억 자문료' 의혹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 전 국장은 퇴직 후 SK 계열사들에게 2006년부터 4년여 동안 자문료 명목으로 30억 원을 받았습니다.
검찰은 이 돈이 이 전 국장이 국세청 재직 당시 SK 세무조사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받은 대가인지 보고 있습니다.
태광과 한화 그룹 비자금 수사 이후 모처럼 대기업 수사에 나선 검찰이 과연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MBN뉴스 오이석입니다. [hot@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