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숙의가 길어지면서 정치권에선 아전인수식 해석과 설들이 난무하고 국론 분열도 격화하고 있습니다.
어떤 결론이 나도 집단적 반발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와 함께 정치권이 대립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여야는 '승복 약속'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이고 있죠.
유호정 기자와 뉴스추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
【 질문1 】
먼저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는 달랐다고요?
【 기자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거리에는 촛불과 태극기 집회, 즉 탄핵 찬반 집회가 벌어졌습니다.
극심한 국론 분열에 탄핵심판 선고 한 달 전, 여야4당 원내대표는 어떤 결과가 나오든 승복하겠다는 메시지를 발표했습니다.
그런데도 광장 열기가 식지 않았고, 선고가 임박할수록 극단적 충돌에 대한 우려가 커졌죠.
결국, 헌재 선고 하루 전 국회의장이 여야 중진들과 오찬 회동을 했고, 여기서 여야가 다시 한번 승복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 인터뷰 : 정세균 / 당시 국회의장(2017년 3월 9일)
- "중진 의원들 모두가 헌재 결정에 승복하고 또 통합된 마음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자는데 합의를 했습니다."
국민 통합이라는 정치인의 책무에 여야가 공감하고 뜻을 모은 셈입니다.
【 질문2 】
지금은 어떻습니까?
【 기자 】
여아 모두 승복하겠다고 말하지만 서로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연일 승복 메시지를 강조하면서 여야가 공동선언을 하자는 입장입니다.
탄핵이 기각되거나 각하돼도 승복한다는 거냐며 이재명 대표의 과거 발언도 소환했습니다.
▶ 인터뷰: 이재명 / 당시 성남시장(지난 2017년)
- "기각되더라도 승복할 것이 아니라 국민의 손을 잡고 끝까지 싸워서 반드시 박근혜를 퇴진시킵시다. 박근혜는 퇴진하라."
【 질문3 】
야당의 답은 나왔나요?
【 기자 】
공동선언 제안에 대한 즉답은 없지만, 승복은 당연한 거란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여권의 승복 메시지야말로 거짓말 아니냐며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는 당부를 남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오늘 발언에도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 인터뷰 :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 "어떠한 결정에도 결과를 존중하고 수용해 주실 것을 국민들께 다시 한번 간곡히 호소드립니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하지 않는 최 권한대행이 할 말이 아니라는 겁니다.
야당은 또 탄핵 심판의 당사자인 윤석열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질문4 】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 나올까요?
【 기자 】
윤 대통령 측은 헌재 선고 전 어떤 메시지도 내지 않을 거란 입장입니다.
승복 의사가 헌재의 탄핵 인용 결정에 부담만 덜어줄 거란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각에선 중도 확장을 바라는 당 지도부와 대통령 간의 주도권 싸움이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현재 당 지도부는 꾸준히 승복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고, 대통령 중심으로 뭉친 지지층으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대통령 중심으로 지지층이 뭉칠수록 대통령의 영향력도 커질 것"이라며 "반대로 중도층을 신경 쓰는 지도부가 공간을 얻으려면 대통령이 승복 메시지부터 내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앵커멘트 】
유호정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김경준
그래픽 : 주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