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연임, 공감대 넓어지는 분위기"
"대통령 거부권 남발, 국회의장이 바로 잡아야"
"정치 검찰 좌시 않을 것... 기소 분리, 중수청 설치로 검찰 개혁 마무리"
"내일 영수회담, 윤 대통령 사과와 국정 전환 약속 있어야"
![]() |
↑ 사진=MBN 정운갑의 집중 분석 |
4·10 총선 경기 시흥을 당선으로 6선에 오르며, 차기 국회의장에 도전 의사를 밝힌 조정식 의원이 이른바 '명심'을 거듭 강조하며 개혁국회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조 의원은 오늘(28일) MBN 정운갑의 집중 분석에 출연해 "이재명 대표와 오랫동안 정치적 궤적을 함께 해왔다"며 "당 대표 취임 후 1년 20개월 동안 함께 일한 점에서 가장 호흡이 잘 맞고 일을 잘할 수 있는 사람, 적임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 대한 유권자의 명령 이행을 잘 이끌 지도는 이 대표라는 이론이 일리가 있다"는 공감대가 당내 꽤 넓어져가고 있다며 이 대표 연임론에 힘을 실었습니다.
![]() |
↑ 사진=MBN 정운갑의 집중 분석 |
조 의원은 이어 "22대 국회는 총선 민심을 안고 출범하는 국회"라며 "어설픈 기계적 중립이나 무색무취한 국회의장은 지금 필요한 게 아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개혁국회를 청사진으로 제시하며, 두가지 책무를 설명했는데, "일방독주의 용산 권력의 전횡을 제대로 견제하고 바로잡는 입법부가 돼야 하고, 민생 입법을 제대로 수행하고 완수하는 국회가 개혁국회"라고 했습니다.
조 의원은 특히 국회의장이 되면, 헌법과 민주주의 원칙을 제대로 확립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9차례 대통령 거부권 행사가 21대 국회를 무력화 시켰다고 진단하며, 22대 국회에서는 거부권 남발을 국회의장이 엄중 경고하고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정치 검찰의 무차별한 국회 압수수색과 야당 탄압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최근 2년 동안 총 20차례의 국회 압수수색이 있었던 점은 국회를 무시하는 정치 검찰의 전횡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를 위해 "수사와 기소 분리, 중대범죄수사청 신설 마무리를 위한 검찰 개혁을 위해 사법개혁 특위를 조기에 만들어 제대로 된 안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여야 합의 정신도 중요하지만 정쟁화되고 차일 피일 미뤄지면 시한을 통첩하고 의장 직권으로라도 본회의 합의, 개최를 이뤄 생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조 의원은 다음달 3일 본회의를 앞두고 채상병 특검, 이태원 특별법, 전세사기 특별법, 양곡법에 대한 여권 입장을 보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린 것 같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조 의원은 "총선이 지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총선 민심에 정면으로 역행한다"며 "남은 국회 기간에 우선적으로 총선 민심에 부응하는 법안 처리를 여당도 동의해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
↑ 사진=MBN 정운갑의 집중 분석 |
조 의원은 또 최다선 의원으로서 협치가 깨지고 대립과 갈등을 부추긴 건 대통령과 여당이었다며, 정치 실종에 대한 쓴소리도 마다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정치가 복원되고 국회가 재기능을 하기 위해 내일 영수회담이 중요하다"며, "윤 대통령의 사과와 국정 전환에 대한 약속이 있어야 성공하고, 박수 받는 회담이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의원은 "내일 이 대표는 아마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가감없이 전달 할 것"으로 보인다며, 21대 국회에서 채상병 특검, 이태원 참사 특별법
이와 함께 차기 총리는 "국회와 야당을 존중하는 인사를 제시하는 게 해법"이라면서도, 앞서 영수회담을 앞두고 과거 노무현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에 대한 폄훼 발언을 종종 하신 분을 비서실장으로 임명한 건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오지예 기자/calli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