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유예로 대화의 실마리를 마련했지만, 정작 전공의들은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의료계와 협의체 구성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는 처음으로 의료계 관계자들을 만났지만, 집단행동 당사자들은 빠진 반쪽 짜리였죠.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다시 한번 의료계를 향해 대화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갈등의 핵심인 의대 증원 규모를 두고는 의료개혁의 출발점이라며 2천 명 증원 방침에 변함없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첫 소식, 전정인 기자입니다.
【 기자 】
수술복을 입은 윤석열 대통령이 의료진의 안내를 받으며 병원 심혈관센터를 둘러 봅니다.
충북 청주의 한 2차병원을 찾은 윤 대통령은 의료진들을 격려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비상의료체계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환자 곁을 지키고 계신 의료진과 병원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서 오전 국무회의에서는 의료계를 향해 정부와의 대화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다만, 2천 명 증원에 대해서는 확고한 입장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대통령
- "의대 증원 규모가 대학별로 확정됨으로써 의료개혁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이 만들어졌습니다. 의대 증원은 의료개혁의 출발점입니다."
의료계와 건설적 협의체 구성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는 의대 주요 관계자들과 첫 만남을 갖고 대화의 물꼬를 텄습니다.
다만 집단행동의 당사자인 전공의나 전의교협 등 교수들은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한덕수 / 국무총리
- "모든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를 많이 했습니다. 더 좀 확대를 하고 해서 이러한 대화를 계속 좀 이어가도록…."
▶ 스탠딩 : 전정인 / 기자
- "윤 대통령은 또 보건의료 분야를 안보와 치안 등 국가 본질 기능과 같은 반열에 두고 과감한 재정투자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전정인입니다."
영상취재 : 최영구, 전범수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