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의대 정원 증원과 관련해 "헌법이나 법률상으로 보면 정부가 책임지고 결정할 사안"이라며 정부가 제시한 의대 증원 규모 2천명을 일단 유지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오늘(28일) 기자들을 만나 의대 학장단체가 대학이 수용할 수 있는 증원 규모가 350명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력 수요나 공급을 추계해 정확하게 몇 명이 필요하겠다는 것을 의료계에 의견을 들을 수는 있겠지만, 사실 결정하는 책임은 국가에 주어진 것"이라며 "(증원 규모는) 합의하거나 협상할 문제는 결코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의사 수 8만명 이상이 현재도 국제 평균적인 수준으로만 봐도 부족한 상황이다. 2035년에 70대 의사 비중이 20%대로 늘어난다"며 "이런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수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수준으로 생각한 것이 2000명"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의사협회는 의료계의 대표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접촉해 말씀을 들어보면 의협이 대표성을 갖기는 좀 어렵다"며 "대표성을 갖춘 구성원을 의료계 내에서 중지를 모아 제안해달라고 계속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가시적으로 합의를 이룬 것을 전달받지는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오지예 기자/calling@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