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더불어민주당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기로 하면서 사실상 위성정당 창당이 불가피해진 상황입니다.
지역구 후보는 내지 않고 비례 의석만을 노린 위성정당 제도를 두고 여야는 오늘(6일)도 날 선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이지율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위성정당은 "잘못된 제도"라며 "출발 자체가 야합"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인터뷰 : 한동훈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위성정당의출현으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우리가 다 알고 있지 않습니까. 김의겸 같은 사람이 의원이 되는 거고, 최강욱 같은 사람이 의원이 되는 걸 겁니다."
위성정당 제도를 통해 더 많은 운동권 특권 세력이 국회에 입성할 길이 열렸다는 주장입니다.
지난 대선 당시 위성정당을 만들지 않겠다고 약속했던 이재명 대표는 "논란을 부인하지 않겠다"면서도 '정당방위'라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 인터뷰 :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 "민주당의 승리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우리 국민의 승리를 지향해야 됩니다. 선거와 관련된 전반적인 연합과 단합, 연대가 필요하다."
정권 견제를 목표로 한 총선 승리를 위해 야권 위성정당 창당이 불가피하다는 논리입니다.
선거제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여야 원내대표도 책임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 인터뷰 : 윤재옥 / 국민의힘 원내대표
- "민주당의 변명 중에서 가장 기가 막힌 내용은 위성정당 금지법 노력이 여당의 반대로 실패했다는 것…. 갑자기 무슨 약자 코스프레인지.""
▶ 인터뷰 : 홍익표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위성정당 창당으로 선거제도를 무력화하고 민의를 왜곡하려는 여당의 꼼수에도 병립형으로 회귀하지 않고…."
MBN뉴스 이지율입니다. [lee.jiyul@mbn.co.kr]
영상취재 : 이권열 기자, 라웅비 기자
영상편집 : 한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