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례대표 제도와 관련해 “원래대로 해야 한다는 게 기존 입장이었고, 우리 입장은 명백하다”고 밝혔습니다.
한 위원장은 오늘(15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총선이 86일 남았는데 룰 미팅(선거제도 협상)을 안 하면 국민들은 무슨 기준으로 선택을 할지 걱정이 된다”며 “책임 있는 입장을 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한 위원장은 “비례대표 제도와 관한 우리당의 입장은 4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다”며 “우리당은 지금의 제도가 너무 복잡하고 지대해서 여러 가지 의문이 제기되는 데다 과거 기형적 방식으로 적응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낳았기 때문에 원래대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도입됐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와 관련해 “(국민의힘은) 법이 바뀔 때도 찬성하지 않았다”며 “그런데도 협상이 진행이 안 되는 것은 민주당의 입장이 계속 바뀌기 때문이다. 비례제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은 뭔가”라고 반문했습니다.
나아가 “과거 민주당이었다면 내가 불체포특권 포기, 금고형 이상의 재판 확정 시 세비 반납 같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치개혁을 실천하겠다고 먼저 제시했을 때 지금처럼 피하고 억지 쓰고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우리보다 더 개혁적이고 더 과감한 정치개혁안을 내놓으며 우리와 경쟁했을 것”이라고 질타했습니다.
민주당은 현행법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와 병립형 비례대표제 회귀를 두고 고심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준연
병립형 비례대표제는 정당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을 단순 배분하는 방식으로 20대 총선까지 적용됐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