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도 “누가 어떤 잣대로 영웅에 망신을 주나” 가세
![]() |
↑ 홍준표 대구시장. / 사진=매일경제 DB |
군이 육군사관학교에 있는 독립운동가 홍범도의 흉상을 철거해 이전하기로 하자 홍준표 대구시장이 “항일 독립전쟁의 영웅까지 공산주의 망령을 뒤집어씌워 퇴출시키려고 하는 것은 오버해도 너무 오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군이 홍범도를 비롯해 독립 운동가 5인(김좌진, 홍범도, 이회영, 이범석, 지청천)의 흉상을 이전하려는 이유가 홍범도의 과거 공산당 관련 경력 때문이라는 의혹이 나오자 한 말입니다.
홍 시장은 오늘(27일) 페이스북에서 “굴곡진 역사의 희생양이셨던 독립투사 분이었고 박정희 대통령 이래 김영삼 대통령까지 보수정권 내내 훈장도 추서하고 수십 년간 노력으로 유해를 봉환해 대전 현충원에 안장까지 한 봉오동전투의 영웅을 당시로서는 불가피했던 소련 공산당 경력을 구실삼아 그분의 흉상을 육사에서 철거한다고 연일 시끄럽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6·25전쟁을 일으켰던 북한군 출신도 아니고 그 전쟁에 가담했던 중공군 출신도 아닌데 왜 그런 문제가 이제 와서 논란이 되나”라며 “참 할 일도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홍 시장은 “역사논쟁, 이념논쟁을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그건 반역사”라며 “그렇게 하면 매카시즘으로 오해를 받는다. 그만들 하라. 그건 아니다”라고 일침을 가했습니다.
![]() |
↑ 2018년 3월 1일 육군사관학교에서 제막한 독립전쟁 영웅 5인의 흉상 표지석. 왼쪽부터 홍범도 장군, 지청천 장군, 이회영 선생, 이범석 장군, 김좌진 장군. / 사진=육군 제공 |
지난 2018년 3월 1일, 국군의 뿌리가 독립군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걸 기리기 위해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는 일제강점기 독립군을 이끌었던 5인의 흉상이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육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자체 계획에 따라 추진된 사항”이라며 흉상 철거를 검토 계획을 밝혔습니다. 일각에선 홍범도 장군 흉상을 문제 삼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지난 25일 국회 국방위에서 “북한을 대상으로 전쟁을 억제하고 전시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육사에 공산주의 경력이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되겠느냐는 지적이 있었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홍범도 장군의 소련 공산당 입당 경력을 언급한 것입니다. 홍범도 장군은 1920년 김좌진 장군과 함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승리를 이끌었지만, 소련 영내에서 활동해야 했던 환경 탓에 소련 당국과 협력하고 공산당에 입당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당시 소련이 약소민족들의 독립운동을 돕는 기조였다는 점 등 소련 공민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사정을 감안해야 할 필요도 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도 지난 25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홍범도 장군에게 건국훈장을 추서한 사실을 거론하며 “국가가 수여한 건국훈장을 받은 독립운동가를
논란이 거세지자 육사 측은 “철거가 아니라 교내 다른 장소나 교외 이전 방안을 검토하는 것뿐”이라며 “흉상 이전이 독립군과 광복군의 역사를 국군의 뿌리에서 배제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